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RUD
- log4j
- MVC CRUD
- Oracle
- 게시판 List
- 환경설정
- 게시판만들기
- MVC설정
- update
- hikaricp
- jdbc
- delete
- Oracle 연결
- log4jdbc
- Connection pool
- 서비스계층
- Controller
- MVC 게시판
- service
- MVC
- 게시판
- spring
- mybatis
- Today
- Total
목록spring/프로젝트 (35)
yahayaha

수정 후 목록 페이지로 이동하게 하려함. 크게 어려운건 없으니 빠르게 진행. 수정을 한다는 가정하에 똑같이 pageNum와 amount가 필요함 이걸 작업해 줄거임. modify.jsp에 수정을 좀 해줘야함 눈에 보이지 않는 태그를 만들어줌. 수정이나 삭제는 POST방식으로 처리함. 수정을 한다하면 PostMapping으로 걸리고, 수정을 하게 되면 pageNum랑 amount값도 전달이 되어야함. 그리고 그걸 받으려면 Criteria로 받아야함. @PostMapping("/modify") public String modify(BoardVO board, @ModelAttribute("cri") Criteria cri, RedirectAttributes rttr) { int count = service.m..

먼저 list.jsp에 추가할 사항이 좀 많음. ${pageMaker} Previous ${num} Next Previous Next 1. Previous 11페이지에서 이전링크를 누르면 10페이지를 가게 하려고 하는 목적 3.Next 10페이즈에서 다음 링크를 눌렀을때 11페이지로 가게하려는 목적 var actionFrom = $("#actionFrom"); $(".page-link").on("click", function(e) { e.preventDefault(); var tagetPage = $(this).attr("href") actionFrom.find("input[name='pageNum']").val(tagetPage); actionFrom.submit(); }); 이제 스크립트로 해야하는 ..

화면에 페잊이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을 ㅗ여러가지 필요한 정보들이 존재함. 1. 현재 페이지 번호(page) - Criteria 2. 이전과 다음으로 이동 가능한 링크의 표시 여부 3. 화면에서 보여지는 페이지의 시작 번호와 끝 번호 이러한 정보들이 필요할 때 클래스를 구성해서 처리 하는 것이 편한 방법이 될 수 있음. Controller 계층에서 JSP 화면에 전달할 때도 객체를 생성해서 Model에 담아 보내는 과정이 단순해짐. 일단 domain 패키지에 PageDTO 클래스를 생성.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ToString; @Getter @ToString public class pageDTO { private int startPage; private i..

페이징 처리를 하기 전 Index와 order by Rownum 인 라인 뷰 이 세가지의 개념을 잡고 오는게 좋음. 먼저 페이징 처리를 위해서 필요한 파라미터는 1. 페이지 번호(pageNum) 2. 한 페이지당 몇 개의 데이터(amount) 를 보여줄 것인지 결정 되어야함. 그럼 작업 시작 먼저 domain 패키지에 Criteria 클래스 생성. Criteria는 DTO개념으로 생각하면됨.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lombok.ToString; @Getter @Setter @ToString public class Criteria { private int pageNum; private int amount; public Criteria() ..

게시물의 수정 작업은 일반적으로 1. 조회 페이지에서 직접 처리하는 방식 2. 별도의 수정/삭제 페이지를 만들어서 해당 페이지에서 수정과 삭제를 처리하는 방식 두 방법으로 많이 처리함. 조회 페이지에서는 GET 방식으로 처리되는 URL을 통해서 수정/삭제 버튼이 존재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제작. 수정 혹은 삭제 작업은 POST 방식으로 처리되고, 결과는 다시 목록(list)에서 확인하는 형태로 제작. 먼저 BoardController에서 수정 삭제가 가능한 화면으로 이동하는 메서드를 생성. 약간의 수정이 필요함. @GetMapping({"/get", "/modify"}) public void get(@RequestParam("bno")long bno, Model model) { log.info("get..

커뮤니티를 하거나 카페 블로그를 할 때 보통 게시글을 볼 때는 게시글의 타이틀 즉 제목을 보고 클릭함. 그럼 우리는 조회를 하려면 그 타이틀을 클릭했을때 GET요청을 보내서 조회를 할 수 있도록 해야함. 그 작업을 진행. 컨트롤러는 따로 만들지는 않았지만 mapper는 테스트 코드를 통해서 대강 만들었음. 서비스 쪽도 Get이라는 기능을 미리 작성을 함. 진행 순서는 이렇게 됨. 1. Service에서 get이라는 기능을 실행 2. mapper에서 데이터를 가져옴. 3. BoardVO 객체를 전달해주면 컨트롤러에서 전달을 해줘야함 4. 이떄 필요한게 model addattribute 조회를 할때는 게시물의 번호만 조회함. 5. 화면에 전달 할 때는 boardVO 객체를 가져와서 전달해줘야함. 그럼 작업을..

먼저 JST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렉티브 선언부가 필요함. 그리고 tr 부분을 for 루프가 돌아야 하기에 로 감싸줌. 그리고 irems에는 controller에서 list를 model에 list라는 이름으로 담았기에 list를 적어줌. 변수는 간단하게 board로 선언. 그리고 간단하게 와 의 속성을 알아보면. 항복 설명 필수여부 기본값 var 사용할 변수명 필수 없음 items collection 객체(List, Map) 필수 begin 반복 시작 index end 반복 종료 마지막 index step 반복할 때 마다 건너뛸 index 개수 varStatus 반복 상태를 알 수 있는 변수 태그명 내용 requestEncoding value 속성을 통해 지정한 문자 셋으로 변경함 setLocale 통..
@PostMapping("/modify") public String modify(BoardVO board, RedirectAttributes rttr) { int count = service.modify(board); if(count == 1) { rttr.addFlashAttribute("result", "success"); } return "redirect:/board/list"; } @PostMapping("/remove") public String remove(@RequestParam("bno") Long bno, RedirectAttributes rttr) { int count = service.remove(bno); if(count == 1) { rttr.addFlashAttribute("re..